Warning: include(../head.php):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2/cast/http/intro/castis.html on line 1

Warning: include(): Failed opening '../head.php' for inclusion (include_path='.:/usr/share/pear:/usr/share/php') in /home2/cast/http/intro/castis.html on line 1

인터넷 방송의 현황과 응용가능성

1. 인터넷 방송이란?

1) 개념

인터넷방송은 음악이나 영상을 디지털 포맷으로 압축하고 이 파일을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방식이나 작업을 통칭한다. 몇가지 파일형식 중 리얼네트워크에서 개발한 '리얼미디어'가 가장 광범하게 사용되며, 국내외의 대다수 인터넷방송들도 이 형식을 채택하고 있다. 물론 이를 듣고 보기 위해서는 사운드카드와 함께 '리얼플레이어'라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야 한다.
멀티미디어 PC를 사용하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이라면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을뿐만 아니라, 그 제작과 송출도 상대적으로 아주 적은 비용으로 가능하다는 것에 이 방식의 매력이 있다. 또한 전국은 물론 세계 어느 곳에서나 접속할 수 있고 지나간 프로그램까지 들을 수 있다는 것역시 대안적 운동매체로서 관심을 끄는 이유이다.

2) 용어

  • 다운로드(download) / 스트리밍(steaming) / 리얼타임(real time)
  • 리얼미디어 / 윈도우즈 미디어 플레어어 / Vivo / Quick Time
  • 대역폭(용량)
  • 서버와 클라이언트

3) 특징

  • 멀티미디어 : 활자 + 음성 + 영상
  • 미디어 융합(media convergence) : 디지털화된 포맷(비트)으로 무한히 호환, 복제, 전송 가능
  • 유연하고 풍부한 이용 : 다중채널, 하이퍼 링크
  • 인터넷을 통한 송출 : 높은 접근성과 낮은 접근성
  • 상대적으로 저렴한 제작, 운영비용

2. 구현원리

1) 방송이 웹 상에 올려지기까지
 


컨텐츠 결정과 웹사이트 제작 

결정된 사항에 따른 편성과 제작

컴퓨터를 이용해 파일로 전환 (디지털화)

FTP 등 프로토콜을 이용해 웹서버로 업로드
 

2) 방송청취 개념도
 


웹서버                        VOD 서버

↓                                 ↓

<인터넷>

  ↓ 모뎀          ↓ 전용회선          ↓ ADSL

네티즌1           네티즌2            네티즌3
 

3) 인터넷을 통한 매체의 통합

3. 국내외 현황

검색엔진 empas의 "컴퓨터>인터넷>인터넷방송국" 항목을 보면 이미 1백개 가까운 인터넷방송 사이트가 등록되어 있다. 이들은 방송 컨텐츠를 본격적으로 다루면서 방송을 표방하는 사이트의 경우이고,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 아마추어 방송사이트들까지 생각한다면 몇백개 이상이 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한국 인터넷방송국 네트워크(http://www.koreawebcast.net)는 두해 전 전문 방송국들의 연합체로 생겨났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큰 추세로 보면 기술과 내용의 불균형이 두드러진다. 첨단기술이 보편화되고 대역폭 문제가 상당히 개선되고 있지만 상업적 컨텐츠가 과다한 비중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안적 소통, 배급 방식에 대한 고려와 실험은 미비하며 여전히 일방적 전달 중심이다. 먼저 독립방송국이 다수 존재하다고 이것이 인터넷으로 전환된 것이 아니라 인터넷이 보급되면서 상업적 고려로 방송을 채택하는 업체들이 다수인 탓이 크다. 외국의 몇가지 사례와 비교해 보면 이러한 경향은 더욱 명확해진다.

한국 운동진영에서의 활용 사례가 없지 않지만, 유용한 보조 수단으로 소화되기 보다는 이벤트성 보여주기에 머무른 느낌이다. 그러나 인터넷을 통한 전국적/항상적 접근성, 검열로부터의 자유로움, 경제성, 참여의 용이성, 미디어 융합 등의 측면을 고려한다면 더욱 적극적인 실험이 요구된다. 또 기술적 가능성만을 염두에 둔 접근이 아니라 내용성, 즉 기획의 의도와 방향성을 명확히 하는 접근이 더욱 중요하다. 소식지, 신문, 유인물 등과 내용적으로 그리고 인적으로 상호전화한다는 사고로부터 출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 지하철노조투쟁 중계 및 CD-ROM 타이틀 제작
  • 민중대회 현장중계
  • 국가보안법 철폐투쟁뉴스등 시사물
  • 라디오 방송 포맷의 뉴스
  • 민중가요 방송, 민가 디지털화 및 보급사업

4. 전망

머지않아 전문방송국과 각 사이트별 컨텐츠로 분화될 것으로 보인다. 후자는 모든 웹사이트에서 크고작게 방송적 요소를 갖는 내용을 담게 될 것이라는 이야기이다. 전자의 '전문방송국'이 얼마나 전문적이고 큰 흐름이 될지는 아직 알 수 없고, 이것이 공중파방송을 위협할 수준일지는 더욱 알 수 없다. 그러나 미디어 융합 경향은 다양한 전망을 가능게 한다. 인터넷방송 자체가 자기완결적일 수는 없다면 다른 미디어와 상호병용/전환되는 상을 생각해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인터넷방송을 소규모 지역채널이나 전국적 보조/대안 방송의 초기 작업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즉 아마추어적 인터넷방송팀을 가능한 많이 건설함으로써 기술적 내용적 실험을 수행하고 경험있는 인력을 훈련하며, 여기서 생산되는 내용들을 운동진영의 각 사이트에 활용해 봄직하다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노조식당이나 사업장 구내에서 이러한 프로그램들을 방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재정이 뒷받침되는 조직체에서는 더 체계적인 기획을 세워볼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국민주방송 운동의 사례와 최근 FM 독자채널의 제안에도 인터넷방송은 일정한 아이템을 제공할 것이다.

5. 실제로 방송을 하려면?

1) 특징을 최대한 살리자

  • 독립적 대안적 매체로서의 성격
  • 상대적으로 손쉽고 경제적인 제작과 공유
  • 작업과정에의 참여 도모 가능

2) 필요한 것들

  • 제작 : 캠코더, 오디오, 작업용 PC, 소프트웨어
  • 송출 : 홈페이지, 서버(학교/사업장, 기간망, 상업망의 순으로 이용 타진)
  • (앞의 것들보다 열배 이상 중요한) 기획 : 구상과 내용 / 인력 : 주체의 문제 !!

3)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응용실험

  • 녹음과 편집 : 오디오 특화 방송의 가능성 (제트오디오, Sound Forge 등)
  • 캠코더와 캡쳐보드 이용한 동화상 편집 (어도비 프리미어, Mpeg Encoder 프로그램)
  • 웹캠(PC-cam)의 응용 (어도비 프리미어, 리얼 프로듀서)
  • 디지털 카메라(스캐너)의 응용 - 슬라이드효과 (리얼 슬라이드쇼, 자바 애플릿)
  • 송출 : Real Sever (Basic)의 활용
 
  방송국소개
 - 방송국소개
 - BASE21
  미디어
   플레이어 정책
  지나온 길
  편성표
 - 참세상방송국
 - BASE21
  관련자료들
 - 인터넷방송이란?
 - 관련HW/SW
  연대활동
top  

Warning: include(../foot.php):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2/cast/http/intro/castis.html on line 175

Warning: include(): Failed opening '../foot.php' for inclusion (include_path='.:/usr/share/pear:/usr/share/php') in /home2/cast/http/intro/castis.html on line 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