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 불안과 차별에 시달리는 기간제 교사들의 현실

[기고] 쪼개기 계약, 기피업무 떠넘기기...차별의 일상화

한 해를 마무리해야 하는 12월은 누구에게나 분주한 달이다. 학교도 마찬가지다. 학년을 마무리해야 하기 때문에 업무 폭탄이 터진다. 성적처리, 통지표, 진학 업무, 졸업 업무, 생활기록부 작성 등으로 숨 돌릴 틈도 없다. 기간제교사들은 여기에 계약 만료, 또는 계약 만료를 앞두고 있는 시기여서 계약 연장 여부에 신경이 곤두설 수밖에 없다.

전국기간제교사연합회가 11월 20일~12월12일까지 진행한 차별 시정 요구에 관한 설문 조사에서도 고용 불안 문제의 심각성을 알 수 있다. 900명의 응답자 중 52.8퍼센트가 쪼개기 계약과 같은 고용 불안이 가장 시급히 해결돼야 한다고 답변했다.

쪼개기 계약은 12개월 중 여름 방학과 겨울 방학을 제외하고 9개월만 계약을 맺는 것이다. 그러나 방학 중에도 기간제교사의 업무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학기 중 미처 처리 못한 업무도 있고, 방학 중에 공문이 내려오거나 학생들과 학부모들의 전화 상담, 체험 학습 상담 등의 업무가 있다.

특히 겨울 방학을 제외한 쪼개기 계약은 12월에 계약 만료가 되므로 참으로 고약하다. 담임은 12월에 생활기록부를 작성하고 1월에 생활기록부를 검토하고 잘못된 내용을 바로 잡는다. 그러나 12월로 계약이 만료되면 그 일을 제대로 마무리할 수가 없다. 게다가 1,2월에 발생하는 학생들과 관련한 사안은 누가 담당해야 할까? 정교사가 복직을 한다 해도 낯선 담임에게 학생과 학부모들이 마음 편히 상담을 할 수 있을까?

기간제 교사들은 담임을 맡아도 학년을 마무리하지 못해 담임으로 기록되지도 않고 학생들과 인사도 나누지 못하고 헤어져야 한다. 상당수의 기간제 교사들이 동일 학교에서 연속해서 수년을 근무하는 상황인데도, 연말이 될 때마다 재고용에 대한 불안을 안고 살아야 하는 현실이다. 게다가 교사들에게 방학은 연찬의 시기임을 감안하면, 이는 기간제 교사에게도 적용해야 한다.

이처럼 방학을 제외한 쪼개기 계약은 기간제교사의 생계를 위협하고 안정적인 교육과정 운영에도 지장을 주기 때문에 쪼개기 계약은 금지돼야 한다.

최근에는 한 학교에서 4년을 근무한 기간제 교사들의 고용불안 문제가 커지고 있다. 올해 2월 경기도 교육청 소속 학교들에서 이런 일들이 벌어졌다. 경기도 교육청이 교감단 회의에서 같은 학교에 4년 이상 근무한 기간제교사들은 더 이상 채용하지 말라는 통지를 했기 때문이다. 기간제교사의 임용기간을 규정한 교육공무원 임용령 13조 ➂항(법 제32조 제1항에 따라 임용되는 기간제교원의 임용기간은 1년 이내로 하며, 필요한 경우 3년의 범위에서 연장할 수 있다)에 대한 해석을 의도적으로 회피했기 때문이다. 이 법규에 대한 법제처의 해석은 4년을 초과하여 근무할 경우 공개채용 절차를 거치면 더 근무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경기도 교육청 소소 각급 학교들은 4년 이상 근무한 기간제교사들을 해고하기에 이른 것이다.

경기도 교육청은 동일 학교에서 4년 이상을 근무했다면 상시·지속 업무임이 너무 명백해 정규직 전환 논란이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런 꼼수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오히려 그동안 부족한 교원 문제를 기간제 교사를 채용해 해결해 온 잘못된 정부 정책을 바로 잡아야 한다. 그런데 이런 문제를 바로잡기는커녕, 정부가 기간제 교사를 정규직 전환 대상에서 제외함으로써 오히려 이런 해고 사태가 더 확대되지 않을까 우려되는 상황이다.

  <기간제 교사들이 꼽은 시급히 해결돼야 할 차별 사안들>
(전국기간제교사연합회 설문, 2017.11.20~12.12. 900명 응답)

과중한 업무와 여러 차별에 시달리는 기간제 교사들

기간제 교사들이 꼽은 시급히 해결돼야 할 또 다른 차별 사항은 교사들의 기피업무와 과중한 업무를 부과하는 문제다.

종종 정교사들이 기피하는 업무가 기간제교사들에게 주어지곤 한다. 학생들은 치열한 경쟁과 성적의 압박을 받는 등 자신의 삶에서 소외됨으로써 일탈적 행위를 하는 일이 벌어지곤 한다. 그래서 여러 가지 학생 사안들이 발생하는데 이런 사안은 아주 복잡한 경우가 많다. 그래서 누구도 이 업무를 맡으려고 하지 않는다. 그러다 보니 결국 기간제 교사에게 그 업무가 맡겨진다. 특히 젊은 남자 기간제 교사들은 학생부 전담을 울며 겨자 먹기로 맡게 되는 일이 많다. 한 기간제교사는 매일 9시까지 야근을 하며 8,9년을 계속 이 업무만 하다 보니 가정생활에도 영향을 준다고 하소연하기도 했다.

그런데 학교에서 기피 업무가 발생한 이유는 교사가 부족해 개별 교사들이 감당할 업무가 과중하기 때문이다. 현재 학급당 학생 수는 교사 한 명이 감당하기에는 너무나 많다. 이런 상황에서 복잡하고 야근을 밥 먹듯이 해야 하는 업무를 꺼려하지 않을 교사가 어디 있겠는가?

따라서 이런 문제는 교사의 부족, 너무 많은 학급당 학생 수, 경쟁 교육과 같은 조건을 개선해야 해결할 수 있다. 정부가 이런 문제를 개별 교사들에게 떠 맡겨서는 안 된다.

이 밖에도 기간제교사들은 성과급 지급 표준 호봉 차별, 호봉 승급 시기 제한, 1정 연수 제한 등을 중요한 차별 시정 사항으로 꼽았다. 이것은 모두 급여와 관계된 사항들이다. 기간제교사들은 교원으로 임용되었으나 공무원이라는 신분을 인정받지 못하기 때문에 공무원 연금 대상자가 아니다. 한 달 벌어서 한 달을 살아야 하는 노동자들에게 급여는 매우 중요한 문제다. 더구나 쪼개기 계약 등으로 급여 없는 3개월을 살아야 하는 입장에서 더욱 그렇다.

예를 들면, 정부는 기간제 교사들의 집단 소송과 항의를 받아 2013년부터 기간제 교사들에게도 성과급을 지급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지급 표준 호봉을 정교사와 다르게 책정했다. 그래서 똑같은 S등급을 받아도 성과급 액수는 정교사의 제일 낮은 등급보다도 낮다. 교원 성과급은 교사들 사이에 경쟁을 강화하고 이간질하는 효과를 내는 나쁜 정책일 뿐 아니라, 비정규직 교사를 차별하는 제도이기도 하다.

교사 경력이 12개월이 되면 한 호봉씩 급여가 승급되는데, 기간제교사는 계약을 맺고 계약서를 쓸 때 호봉이 정해지면 계약 중간에 경력이 12개월이 되어도 호봉이 승급되지 않는 것도 차별이다.

그리고 교사의 자격을 한 단계 올려주는 자격 연수인 1정 연수를 받을 기회도 부여하지 않는다. 초중등교육법에 따르면2급 정교사 자격증이 있고 교육경력 3년 이상이면 이 자격 연수를 받을 수 있지만, 교육부는 기간제교사는 제외시키고 있다. 이 사항은 현재 고등법원에서까지 교육부 조처가 부당하다고 판결이 났지만, 교육부는 연수 제한을 고수하고 있다.
이런 제도적 차별들 외에도 기간제 교사라는 이유로 서러운 일을 당하는 일들이 종종 벌어진다. 한 기간제교사는 ‘환경 우수 학교’를 만들기 위해 며칠 동안 잠을 설치고 야근을 하며 학생을 지도하고 보고서를 작성했다. 그 덕분에 그 학교는 환경 우수 학교로 지정이 되었지만, 정작 교육부 표창은 실제로 이 업무를 담당했던 기간제교사가 아니라 다른 정교사에게 돌아갔다. 기간제 교사라는 제약 때문에 표창장을 받을 수 없다는 이유였다.

이렇게 기간제교사들은 억울하지만 눈물을 감추며 참아내고 있고, 이를 악물며 부당한 처우를 감내하며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차별은 정부가 해고하기 쉬운 교사, 통제하기 쉬운 교사를 양산하고 그 책임을 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기간제 교사 정규직화와 차별 폐지를 위한 활동은 계속 된다

전국기간제교사연합회는 기간제 교사들이 겪는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정규직화와 차별 폐지를 위한 활동을 계속 벌이고 있다. 최근 전기련이 진행한 차별 시정을 위한 단 기간의 설문 조사에 900여 명이 참가한 것은 기간제 교사들이 여전히 이런 요구가 높다는 것을 보여 준다.

전기련은 지난 9월에 차별 시정을 위한 국가인권위원회 진정을 제출했고, 조속히 차별 시정 권고를 내 줄 것을 촉구하고 있다. 또 ‘기간제교사 정규직화를 지지하는 공동대책위’와도 함께 활동을 벌이고 있다. 최근 이 공대위는 기간제 교사 문제를 알리고 차별 폐지를 요구하는 인증샷 찍기를 했다. 이를 통해 기간제교사들은 우리를 지지해주는 많은 이들이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확인하고 힘을 얻었다.

학교에 같이 근무하는 정교사들도 기간제교사들이 이런 차별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아는 경우는 많지 않은데, 전교조 교사들이 기간제 교사 설문조사와 인증샷 찍기 캠페인에 동참해 준 것도 고무적이다. 앞으로 전국기간제교사연합회는 기간제교사를 지지하는 공동대책위와 함께 기간제교사 정규직화와 차별을 없애기 위해 노력해 갈 것이다.

태그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박혜성 (전국기간제교사연합회 대표)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