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많은 비정규직과 함께 다양한 목소리를 담아내기를

[기고] ‘사단법인 김용균재단’도 비정규직 투쟁에 함께 하겠습니다

'비정규직 이제그만 1,100만 비정규직 공동투쟁(이하 비정규직이제그만)'은 지역과 업종을 넘어 비정규직 당사자들의 직접행동을 아래로부터 건설하기 위해 만든 자발적인 공동행동 모임입니다. △모든 해고 금지! 모든 노동자에게 4대보험 적용! △모든 노동자의 노조 할 권리 보장(노조법 2조 개정) △‘누더기’ 중대재해처벌법 개정! △비정규직 철폐! 등 일하는 모든 사람들이 "일하다 죽지 않게, 차별받지 않게" 투쟁하고 실천하고 있습니다.

‘비정규직이제그만’에서 매달 발행하는 온라인 소식지 기사 중 ‘비정규직의 외침’과 ‘투쟁소식’을 2월호부터 비정규직이제그만 공식 블로그(https://blog.naver.com/stopprecariouswork)와 <민중언론 참세상>에 동시게재합니다.


풀네임으로 ‘사단법인 김용균재단’ 이라고 합니다.

재단이라니…. 저에게 ‘재단’이라는 단어의 느낌은 뭔가 불법자금의 온상 같고, 돈 있는 사람들이 겉치레하는 조직 같고 뭐 그랬습니다. 그래서 김용균투쟁을 경과하며 만든 단체 이름이 김용균재단이라니, 하는 마음이 조금 있었습니다. 그런 게 저뿐만은 아니었는지, 김용균재단 사무처장 동지는 사람들이 ‘김용균 재단’이라고 띄어쓰기를 하면 띄어쓰지 말아달라고 꼭 연락해서 수정하고야 맙니다. 뭔 차이냐 싶으시겠지만 일단은, ‘김용균’이라는 이름의 재단이 아니라 ‘김용균재단’이라는 이름의 단체라는, 조삼모사 같지만 엄청난 차이가 있는 그런 의미입니다.

[출처: 참세상 자료사진]

어쨌든 결론적으로, 이름이 중요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김용균재단을 만든 사람들의 뜻과 결기가 중요한 것이지요. 아시다시피 김용균재단 이사장은 김용균의 어머니, 김미숙 님입니다. 화력발전소가 첫 직장이었던, 엄마의 눈에는 아직도 어디 내놓기에도 아까웠을 아들이 일한 지 얼마 되지도 않아 생을 마감해야 했던 그 사고를, 세상에서 잊혀지지 않게 하기 위해, 아들을 기리기 위해서만이 아니라 너무나 많이 일어나고 있는 우리 주변의 죽음을 그냥 두고 보지만은 말자고, 김용균재단을 만들자고 제안하셨다고 합니다. 물론 혼자 만드신 건 아닙니다. 김용균투쟁을 함께했던 많은 사람들이 힘을 모았고, 그중에서도 큰 역할을 하셨던 동지들이 운영위원, 이사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2019년 설립 이후 벌써 큰일들을 여러 번 치러냈습니다.

여전히 발전소 현장은 아무것도 바뀌지 않은 채라, 1주기에도 투쟁을 하고, 2주기와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운동을 했습니다. 태안화력발전소 앞에 고 김용균의 추모조형물도 세웠습니다. 다른 유가족분들과 함께 ‘다시는’이라는 산재유가족 모임을 하고, 크고 작은 사고 소식을 들으면 힘닿는 대로 함께 달려갑니다. 유가족분들을 만나서 위로하고, 함께 해야 할 일들을 챙기기도 하고, 대책위가 구성되면 대응 활동에도 나섭니다.

그리고 꼭 산재와 관련된 일만 하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출처: 참세상 자료사진]

김용균이 사고가 있기 전에 우연히 들었던 ‘문재인 대통령, 비정규직 노동자와 만납시다’라고 적힌 피켓. 그날 그가 그 피켓을 들고 사진을 찍었던 건 우연이겠지만, 얼마 후 그런 사고를 당했던 건, 비정규직 노동자가 처해있는 현실을 극명하게 보여준 우연이라고만 치부할 수 없는 일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 사진의 울림에 수많은 이들이 공감하고 산안법 개정과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 투쟁으로 이어질 수 있었던 거겠지요.

그래서, 김용균재단은 비정규직 문제에도 관심을 가지고 함께하고자 합니다. 특히 김미숙 이사장은 비정규직이제그만공동투쟁에 큰 애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산업재해 피해노동자와 유가족 문제가 늘상 있다 보니 생각만큼 자주 결합하지는 못하지만, 늘 마음 한켠에 넣어두고 있는 것 같아요.

저도 주로 비정규직과 관련한 활동을 해왔습니다.

그런데 누구나 비정규직이 문제가 바뀌어야 한다고 말하지만 정작 제대로 해법을 이야기하거나, 목소리를 내는 주체는 부족한 것 같습니다. 저는 비정규직이제그만공동행동이 그런 존재라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투쟁할 때 ‘이 문제는 한 사업장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체 비정규직의 문제야!’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무작정 하는 선언이 아니라, 왜 이렇게 불안정한 노동이 양산되고 노동자의 인권이 존중되지 못하고, 삶을 피폐하게 만들어 가는지에 대한 답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그걸 할 수 있는 존재가 지금 이들이 아닌가 하고 말입니다.

어려운 조건에서 서로 의지가 되는 모습이 늘 듬직합니다. 비정규직 문제를 비정규직 노동자 주체로서 외치며, 더 많은 비정규직 노동자들과 함께 더 다양한 목소리를 담아가길 바랍니다. 물론 김용균재단도 함께 하겠습니다.
태그

권리와 의무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조혜연(사단법인 김용균재단)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
  • 문경락

    그런데 누구나 비정규직이 문제가 바뀌어야 한다고 말하지만 정작 제대로 해법을 이야기하거나, 목소리를 내는 주체는 부족한 것 같습니다. 저는 비정규직이제그만공동행동이 그런 존재라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투쟁할 때 ‘이 문제는 한 사업장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체 비정규직의 문제야!’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무작정 하는 선언이 아니라, 왜 이렇게 불안정한 노동이 양산되고 노동자의 인권이 존중되지 못하고, 삶을 피폐하게 만들어 가는지에 대한 답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그걸 할 수 있는 존재가 지금 이들이 아닌가 하고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