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성으로 평등하자]

길거리에서 갑자기 전동휠체어가 멈췄다

아프면 제때 치료받고 돌봄을 받는 것은 기본권이자 생존권이다. 장애인의 기본적 권리를 보장하지 않는 국가와 사회의 무책임함이 기후위기라는 전 세계적 문제와 교차하며 더욱 복합적이고 중첩되어 장애인의 삶을,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마이클 허드슨(Michael Hudson)]

트럼프의 관세 전쟁, 유럽·한국·일본 강타

지난주 SCO(상하이협력기구)와 BRICS(브릭스) 회의에 대한 대부분의 논의는, 미국이 다른 나라들에게 미국의 요구에 종속될 것을 강요하고 무역과 국제 투자에서의 모든 이익을 자국의 손에 집중시키려는 자기 규칙에 따른 단극 세계 지배 시도를 대체할 수 있는 다자적 대안을 이들 국가가 ...

런던 무기 박람회, 이스라엘 기업 참여해 수백 명 항의 시위

런던에서 열린 국제 방위·안보 장비 박람회(DSEI)에서 이스라엘의 참가를 규탄하는 시위가 무기 회사와 무기 거래상들을 맞이했다. 화요일 런던 엑셀 센터에서 열린 행사에는 1,600여 개 전시업체 가운데 50개 이상의 이스라엘 방산 기업들이 참가했으며, 경찰은 현수막을 들고 구호를 외치...

[인터링크 위클리]

참세상 인터링크 위클리 (2025.09.11)

하마스 지도부, 카타르 이스라엘 공습에서 살아남다middle east eye 이스라엘이 미국의 중재 하에 휴전안을 논의 중이던 하마스 지도부를 카타르 도하에서 공습했으나 암살에는 실패했고, 하마스 인사의 가족과 직원 등 최소 6명이 사망했다. 카타르는 이번 공격을 “국제법 위반이자 주권...

[코스모스, 대화]

지구의 하루는 왜 점점 짧아지고 있을까?

2025년 8월 5일 화요일, 지구는 평소보다 1.33밀리초 더 빠르게 자전한다. 이날 하루의 길이는 86,399.99867초로, 2025년 중 가장 짧은 날 중 하나가 된다. 이런 현상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그리고 이를 어떻게 그렇게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이해하려다 보면,...

AI의 급증하는 에너지 소비, 데이터 센터 효율성 주목

AI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이를 구동하는 컴퓨터의 수도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이 급격한 성장은 AI 모델을 운영하는 데이터 센터에 엄청난 부담을 주고 있다. 이러한 시설들은 그 어느 때보다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다.

[딘 베이커(Dean Baker)]

트럼프의 대법원 관세 소송 서면 분석: 대통령은 미쳤다

나는 다음 달에 열릴 대법원 관세 사건에서 트럼프 팀이 어떤 주장을 하고 있는지 약간 궁금했다. 결국 헌법은 관세를 부과할 권한을 의회에 명확하게 부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헌법 제1조 제8절 첫 문단에서 의회의 권한을 설명하는 부분에 명시돼 있다.

서울대병원 노동자들, 이달 17일 “시민·환자, 노동자 모두 살리는” 파업 나선다

서울대병원 현장 노동자들이 의료 공공성 강화와 함께, “환자 안전과 직결된” 병원 노동자의 노동조건 개선 등을 요구하며 오는 17일 파업에 돌입한다. 이들은 10일 오전 서울대병원 시계탑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환자와 노동자의 안전과 단 한 사람의 건강도 배제되지 않는 공공병원을 만...

[기고]

“환자분,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 입원이 불가합니다”

국립대병원 의료노동자, 공공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전면 도입과 인력 확충 요구하며 9.17 파업 나선다

최근 지인이 중증 암 진단을 받고 복합적인 문제로 입원을 했는데 간병사를 구하느라 애를 먹었다. 1일 간병비가 15만 원이 넘는 것도 문제지만, 환자 상태에 맞는 적절한 간병사를 구하는 것은 더 힘들었다. 2016년부터 국민건강보험이 적용되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가 시행되고 있는데도 불구하...

김용균 곁 뿌리 내린 김충현 나무…“일하다 죽지 않는 세상” 이룰 투쟁의 약속

태안화력발전소 정문 앞, 고 김충현 노동자의 삶과 죽음을 기억하는 배롱나무 한 그루와 함께, 그의 얼굴과 이름이 새겨진 비석이 자리했다. 고인의 동료들은 고 김충현 노동자의 죽음 100일을 맞아 “희생의 반복을 멈추고 안전하고 단단한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다짐을 담아” 10일 오전, 태안...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