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 조던은 팔레스타인 해방을 지지하는 반시온주의적 입장 때문에 검열과 비난에 직면했지만, 그녀의 작품은 흑인 퀴어 페미니즘과 자유를 위한 청사진 역할을 계속하고 있다. 조던은 1982년 이스라엘의 레바논 침공을 비판하는 시를 발표하고, 다양한 인종과 국적의 시인들과 함께 연대하며 이스라엘의 군사주의에 저항하는 활동을 펼쳤다. 그녀의 글과 삶은 인간의 자유와 정의를 지키려는 연대의 힘을 강조하며, 자유를 위한 투쟁에서 파시즘과 억압에 맞서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스페인 정부는 유인원에 대한 해로운 실험을 금지하는 계획을 발표하며 유인원에게 인간과 비슷한 권리를 부여하려 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인간과 동물의 차별적 대우 문제를 부각시키며, 모든 동물이 고통을 느끼는 존재로서 존중받아야 한다는 주장을 불러일으킨다. 동물 실험의 필요성과 윤리성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며, 동물 없는 연구 방법을 대안으로 제시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엘살바도르 내전 당시 미국 국무부와 AIFLD는 정치적 중도파를 지지하며 개혁을 추진했지만, 살바도르 우파의 탄압과 좌파의 무장 투쟁으로 상황은 내전으로 치달았다. 미국 정부는 엘살바도르 정권을 군사적으로 지원했으며, AIFLD는 개혁을 통해 농민의 생활을 개선하려 했으나 탄압과 폭력으로 인해 실패했다. 이후 AFL-CIO의 일부 지도자들과 노동 운동은 엘살바도르 내 개입에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으며, 이를 통해 미국의 개입에 대한 비판적 목소리를 높였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역사적인 인종차별은 흑인을 묘사한 그림들이 부정적으로 인식되는데 영향을 미친다. 흑인을 묘사한 그림들은 과거의 인종차별적 시각과 연관되어 있어, 이로 인해 흑인 인물들이 부정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은 미술 작품의 해석과 이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칼 크라우스는 언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우리가 언어를 통해 어떻게 현실을 이해하고 해석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는 언어가 우리의 사고 방식을 형성하고 영향을 미치는 것을 강조하며, 언어의 한계와 함정에 대해 경고한다. 그는 언어의 본질적인 한계를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2024년 토론토 국제 영화제(TIFF)에서 상영된 아나스타샤 트로피모바의 다큐멘터리 러시아인들의 전쟁이 친러시아 선전물이라는 비판과 시위에 직면했다. 트로피모바는 영화가 러시아 군인들의 인간적인 모습을 통해 전쟁을 비판하는 시도라고 해명했으나, 중요한 정치적 맥락이 생략된 점에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역사적으로도 전쟁 사진과 보도가 어떻게 전쟁을 암묵적으로 지지하거나 반대해왔는지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