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발언4] 진실 보도를 위한 저널리즘과 조중동의 악의

이강택, "조중동-포탈-보수매체 자가복제 확대재생산"

참세상 좌담 '황우석 사태와 이성의 잣대'를 8일 오후 5시부터 참세상 사무실에서 약 세 시간에 걸쳐 진행했다.
좌담은 황우석 사태가 "하나의 신드롬이기도 하지만 한국 사회가 안고 있는 모순이 집약되어 표출"되는 상황에서 "찬반토론이나 일방적인 비판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다양한 각도에서 차분히 돌아봄으로써 우리 사회 이성과 상식의 회복에 기여"한다는 취지에서 마련했다.
좌담은 한재각 민주노동당 정책연구원, 조이여울 일다 편집장, 나정걸 시민참여연구센터 회원, 이강택 KBS PD, 최용준 민중의료연합 대표 등이 참석, 1부는 모두발언으로 의견을 발표하고, 2부는 종합토론 방식으로 진행했다.



  이강택 KBS PD
사회자가 험악한 정세라고 표현하셨는데, 특히 방송계는 위축의 정도가 매우 심하다.

한 달쯤 전에 KBS의 모 프로그램에서 '황우석, 세계는 왜 그를 주목하는가' 라는 타이틀의 다큐멘터리를 방영한 적이 있었다. 제가 '시사투나잇'에서 자리를 옮긴 지 며칠 안 되는 시점이었는데, 평가회의 시간에 강력히 문제를 제기한 적이 있었다. 세계가 왜 주목하는 지 너무 빤한 게 아니냐, 세계적으로 이미 연구윤리와 생명윤리를 둘러싸고 논란이 뜨거운데 그에 대해 한 마디도 안 하고 기본적인 문제제기조차 없다면 도대체 왜, 무슨 의미를 두고 프로그램을 만드느냐 라고.

그런데 요즘 이 일 터지고 난 다음엔 내가 머쓱하게 되었다. 전체적인 분위기가 이렇다. '하마터면 큰 일 날 뻔했다. 그때 우리가 잘 했지...'

어제 '추적60분'을 담당하는 후배가 거의 울상이 되어 찾아왔다. “형, 일할 맛도 안 나고 무슨 아이텀 잡아야 할 지 모르겠어요. 추적60분이라 밝히고 취재에 응해주십시오 라고 할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사회분위기 하에서 어느 기득권 집단이 취재에 응하겠으며, 어떤 탐사보도 아이템이 가능하겠는가? 1월 방송 준비로 뭘 할지 어떻게 할지 모르겠다. 사명감이고 뭐고 정말 안했으면 좋겠다”고 심경을 고백했다.

하지만 지금 국면은 조중동을 비롯한 주류언론이 언론계 내의 진보 내지 개혁세력을 단지 위축시키는 단계를 훨씬 넘어섰다. 누구를 거꾸러트릴까, 누구를 거꾸러트리는 게 가장 유리할까 타겟팅을 하고 마음대로 휘젓고 있다.

조중동이 방향과 키워드를 제시하면 여타 주류언론이 따라붙는 공모의 카르텔이 작동하고 있다. 향후의 국면이 어떻게 진행되느냐 문제에 관해 몇 가지 유동적인 요소가 없지 않지만 이 주류 카르텔은 쉽게 허물어지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이 패턴은 앞으로 중요한 시기에 반복 재연될 가능성이 높다. 위축 효과와 함께 그 폐해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클 것이다.

지난 대선 때 조갑제 씨가 이야기한 50대 이상과 20대의 연합이 구체적으로 현실화되는 조짐이 아닌가 하는 느낌이다. 예전에는 조중동이 아침 조간에서 의제 던지면 그걸 낮에 라디오가 받고, 다시 저녁에 석간이 받고, 저녁 9시에 티비가 받고 하는 패턴이 한국사회를 지배해왔다.

이걸 인터넷언론과 한겨레, 경향, 대한, 그리고 PD저널리즘이 연합해서 겨우 깨뜨려놨는데 지금은 새로운 역류가 만들어지고 있는 것이다. 조중동이 키워드 던지면 포탈이 받고, 다른 보수 매체들 붙고 네티즌 반응을 유도․과장해 자가복제하는 확대재생산 패턴이 가동된 것이다.

특히 광고철회를 동원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우리 방송이 구조적으로 취약한 아킬레스건이 바로 이 부분이다. 말이 공영이지만 공공성을 뒷받침할 조건이 구조적으로 하나도 갖춰져 있지 않다. MBC는 광고로 먹고살아야 한다. KBS도 60%가 그렇다. 시간이 갈수록 매체 환경 압박이 엄청나고 살아남기가 최대의 과제로 받아들여지는 상황에서 이걸 이용한다면 버텨낼만한 곳이 거의 없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유의해볼 요소가 있다. 실제로 움직인 네티즌 액터들은 누구였으며, 과연 얼마나 되었을까. 광고주가 네티즌의 압박을 받아서 광고를 취소했다고 하는데 과연 그럴까. 총자본의 자발적 공모가 아니었는지 자세히 살펴야 한다.

이런 부분이 몇 차례 반복 된다면 곳곳에 성역이 만들어질 것이다. 현업 언론인들은 주류담론 넘어서는 것을 극도로 꺼리게 될 것이다. 그러면 어떻게 되겠나. 사회적 의제를 고민하기보다는 기존 담론 내에서 무난한 ‘작품’을 만드는 경쟁에만 몰입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조중동이 악의를 점차 확산시켜가는 대상을 주목해야 한다. PD저널리즘, 최문순, MBC... 이게 뭘 의미하겠는가.

자기들이 담론을 주도하는 새 패턴을 실험․구사하는 측면도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방송계의 구조개편을 궁극적 최대목표로 삼는 듯 하다. 그리고 최소 목표는 대선 국면에서 방송을 어떻게 무력화시킬 것이냐 이런 계획이 가동되고 있는 거다. 얼마 전 ‘공영방송발전을위한시민협의회’ 라는 단체가 보수․수구 인사들을 중심으로 떴는데, 이번 사태를 빌미로 공정성 논란을 부추기고, 제도적 규제를 강화하자는 공격나팔을 불고 담론을 생산해낼 거다.

지금은 너무 위축당해 있는 상황이다. 이쪽의 공동 대응 단위도 굉장히 취약해져 있다. 어떻게 전열을 재정비해야 할 것인가, 어떻게 반격의 모멘텀을 잡고 향후를 대비할 것인가를 시급히 이야기 나누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