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언운동본부는 10일 성명서를 내고 “민주노총은 총선을 앞두고 기승을 부렸던 집행부의 패권적 조직운영을 일대 쇄신하기 위한 성찰과 자숙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민주노총이 통진당을 상대로 단호한 쇄신요구를 보이는 것에 만족하거나, ‘통진당과의 거리 두기’ 혹은 ‘노동 지분 확대’ 수준에서 이번 사태를 안일하게 바라본다면, 민주노총 역시 집행부의 패권과 인식오류에 따른 조직적 혼란을 피해가기 어려울 것”이라고 경고했다.
![]() |
▲ 참세상 자료사진 |
선언운동본부는 “민주노총 집행분파는 이번 총선에서 ‘통진당 원내 교섭단체 확보’를 정치세력화 사업 성패의 핵심 기준으로 삼았다”며 “이 과정에서 자파 세력을 그 주인공으로 만들기 위해 매진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 하는 수준’에 까지 이르게 됐다”고 진단했다.
운동본부는 “이번 통진당 사태가 민주노총의 위기로 비화된 핵심적인 이유 중 하나는 ‘원칙 없는 노동자 정치세력화 운동’ 때문”이라며 “민주당과 통진당이 총선에서 승리하면 곧 노동자 정치세력화가 이룩돼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에 놓이게 됐다”고 비판했다.
운동본부는 통합진보당 당권파들이 민주노총에 미치는 영향도 언급했다.
운동본부는 “민주노총 역시 특정 세력이 의사결정기구를 장악한 속에서 상식적 문제제기나 비판이 수용될 여지는 사실상 사라진지 오래”라며 “내용의 공유정도나 조직적 상당성과 별개로 ‘특정 세력’의 이익에 복무하는 의사결정이 무리 없이 이뤄지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민주노총은 이번 사태의 ‘일방적인 피해조직’이 아닌 ‘공동 책임조직’”이라고 규정했다.
운동본부는 “‘신자유주의 세력’인 국민참여당과의 합당으로 태어난 통합진보당은 이미 그 태생부터 ‘진보정당’이라 부르기에 적절치 않았으나, 이번 부정선거 사태를 계기로 ‘조직 민주주의’마저 잃을 지경에 놓였다”며 “민주노총은 스스로에 대한 철저한 반성과 비판을 전제로, 통합진보당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고 조직적 단절을 선언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운동본부는 또한 “이는 단순히 ‘통합진보당과의 결별’이 아니라, 민주노총 안에 도사리고 있는 ‘통합진보당식 사고와 사업’과의 단절이어야 한다”며 “올바른 노동자 정치세력화를 실현하기 위한 진중한 논의에 즉각 돌입하고, 민주노조운동 내에 있는 다양한 정치적 주장을 수렴할 수 있는 태세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